본문 바로가기
등산

양평 청계산.

by 미남님 2009. 1. 9.

 

 

 


                                            당신과 함께 한 시간.

 

                         이름이 청계산이라고 하내요.


                         선입감에 서울에 있는 청계산이 내 머릿속을 지배하므로
                         다른데 있는 청계산은 그저 새끼 청계산 정도로 하찮은 생각이 든다.

 

                         산이야 뭐 조그마한 뒷동산 정도로 생각하고 
                         오늘 하루 여러 회원님들과 가벼운 산보하며 
                         노닥거리다 올 생각으로 길을 나섰다.

 

                                                      뾰족한 산이 유명산, 왼쪽 바로 옆이 용문산이라고 했지요 ? ↓

 


                             총신대역에서 출발 이촌역에서 갈아타고 양평 국수역에서
                             내려 굴다리를 지나니 곧바로 낡은 이정표가 서있다.

 

                             왼쪽은 청계산(신촌) 오른쪽은 청계산(정자동)을 가리킨다.

 

                             정자동 쪽으로 가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우리는 신촌이라고 가리키는 왼쪽 길로 접어들었다.

 

                             초입 양지바른 곳에 묘지가 많이 있어서
                             내 고향 뒷동산에 온듯한 착각에, 
                             따사로운 햇볕마저 꼭 닮은 것 같았다.

 

                             이런 생각을 정리할 때 쯤 구보세라님이 한 말씀 하신다.
                             어렸을 때 떠나기는 했지만 이곳이 고향이고 자기네 선산이라고.

 

 

 

 


                               간단한 준비운동을 하며 여느 때처럼 
                               자기 소개를 하고 산을 오르기 시작한다.

 

                               오솔길처럼 이어지는 산길에 바윗길은 없고 흙을 밟고 간다.
                               눈은 모두 녹아 잔설을 보기 힘들 정도다.

 

                               겨울이어서 하야케 눈덥힌 산길이었으면 좋으련만
                               사각거리는 눈 대신 수북이 쌓인 낙엽을 밟고,

 

                               비탈길에 얇게 깔려 바스락거리는 낙엽에 미끄러지며 
                               조심조심 발바닥에 힘을 주며 산길을 오르고 있다.


                               너 나 없이 바지 하단부에 뿌연 먼지가 묻어있다.

 

                               아마도 이런 달갑잖은 겨울 낙엽 때문에 
                               산행이 조금은 힘들었을 것 같다.

 

                               그런 연유인지는 모르겠으나 
                               노닥거리며 떠드는 소리는 들리지 않고 
                               적막감이 감돌정도로 묵묵히 산행을 한다.

 

                               남자는 그렇다 치고
                               여자 셋이 모이면 접시가 깨진다는데,
                               힘들어서인지 요조숙녀 흉내를 내느라고 그런지, 통 말이 없다.

 

                               솔개 한마리가 우리 주위를 몇 바퀴 돌더니

                               극성스럽고 질기게 따라붙는 까마귀에 쫓겨 시야에서 멀어졌다.

 

 

 

 

 

                              조금은 착각이지만 내 이름에 부흥하려는 건지
                              유득 내가 입적한 산악회에는 멋쟁이 회원님들이 많은 것 같다.

 

                              내려오며 몇 마디 농을 걸어보았다. 
                              역시 부드럽게 이어지는 말 없이, 단타로 끝나버린다.

 

                              아직 사~공이라 세상을 덜 살아서 그럴까 ?
                              오~공정도만 되어도 입으로 혈기가 올라 
                              조금 더 이야기가 길어졌을 터인데.

 

                              그래도 간간이 들려오는 회원님들의 목소리가 감미로웠던지 
                              소나무 아래에서 먹은 점심에 술잔을 여러 번 비웠습니다.

 

                              오가피주에 인삼주. 복분자에 처음 먹어보는 맹맹한 홍삼주까지
                              맨입으로 얻어먹으려니 좀 미안스럽기는 했지만
                              염치없이 기분 가는 데로 받아서 아리랑고개로 술술 넘겼습니다.

 

                              대신 하산주는 아주 조금밖에 안 먹었습죠.

 

                              산을 내려와 동내 어귀에 다가왔을 땐 
                              해님이 서산마루에 걸터앉아 배웅이라도 하듯이
                              활짝 웃으며 반짝거리고 있었습니다.

 

                              함께 즐거운 하루를 보낸 회원님들께 감사드리면서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립니다.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백산의 설경.  (0) 2009.01.22
선운사의 설경.  (0) 2009.01.17
고대산.  (0) 2009.01.06
카페에서의 호칭.  (0) 2008.12.26
검봉산.  (0) 200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