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망초.
학명 : Erigeron annuus (L.) Pers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과명 : 국화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지 : 전세계의 온대 지방에 널리 퍼져 있다.
개화기 : 6~8월
크기 : 높이 50 ~150cm.
꽃말 : 화혜.
다른 이름 : 왜풀. 왜풀떼기. 개망풀. 계란풀.
망촛대.망국초. 넓은잎잔꽃풀.
잎 : 처음에 자란 근생잎은 꽃이 필 무렵 시들어 없어지며
엽병이 길며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줄기잎은 어긋나며 가름하고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다.
줄기 :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 : 원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2cm정도의 꽃이 달리며
중앙의 관상화는 노랑색이고
가장자리의 설상화는 흰색이며 때로는 약간 자줏빛을 띄는 것도 있다.
용도 : 한방과 민간에서는 망초잎을 떼어서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감기. 거담. 두통. 학질. 림프선염. 전염성간염. 위염. 장염. 설사 등에 처방.
이름이 비슷한 다른 식물 :
망초. 개망초, 큰망초, 실망초. 쥐꼬리망초.
개망초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 잡초로
철도공사의 침목을 통하여 들여왔다고 하는 설과
구한말 선교사를 통해 들어왔다는 설이 있는데
망초가 갑자기 퍼지기 시작하면서 을사보호조약이 맺어졌고
나라가 망할 때 생겨났다 하여 망초 또는 망국초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또한 찐 계란의 흰자 속의 노른자 같다 하여 계란풀.
너무 번식이 강하여 농부들이 논 밭에 난 풀을
뽑아도 뽑아도 다시 생겨나는 풀을 향하여
망할놈의 풀에 개 자를 붙여 개망초라.....